[5분세계증시] 코스피, 외인·기관 매도 2,340대 후퇴<br />[뉴스프라임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증시와 우리 증시를 짚어보는 시간 5분 세계 증시입니다.<br /><br />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 증시는 다시 하락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오늘 코스피는 미국 FOMC 회의를 앞두고 2천340대로 밀렸습니다.<br /><br />코스피는 전장 대비 0.87% 내린 2,347.21에, 코스닥은 전장보다 0.72% 밀린 754.89에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먼저 간밤 미국에서 국채 금리가 치솟고 증시가 하락한 점이 우리 코스피에 하방 압력을 가했고, 오늘 발표된 무역수지 적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은 1년 전보다 8.7% 줄어든 330억 달러를 기록했고요.<br /><br />올해 누적 무역적자는 292억1천300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종목별로 보면 시가총액 상위 기업은 전부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를 비롯해서 국내 대표 성장주 네이버와 카카오는 나란히 장중에 52주 신저가를 경신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외 증시 상황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간밤 미국 증시는 국채 금리가 급등한 여파로 하락 마감했습니다.<br /><br />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,01% 내리며 장을 마쳤고, S&P500지수는 전장 대비 1.13%, 나스닥지수는 전장 대비 0.95% 밀리며 거래를 끝냈습니다.<br /><br />스웨덴 중앙은행이 기습적인 1%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서자 FOMC를 하루 앞두고 연준이 점도표와 금리 전망을 상향 조정할 거란 가능성이 떠오르면서 국채 금리가 치솟았고 주가에 부담을 줬습니다.<br /><br />또 자동차회사 포드가 공급망 차질로 차량 인도대수가 줄 거라고 발표하면서 실적 둔화 우려도 커졌구요.<br /><br />독일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45.8%나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를 자극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제 목요일 새벽, 전 세계가 주목하는 FOMC 결과가 발표되는데, 연준이 시장의 예상대로 자이언트 스텝, 즉 0.5%포인트 금리 인상에 나서면 주식 시장이 충격을 받을까봐 걱정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증시 전문가들은 자이언트스텝으로 인한 충격은 제한적일 거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지난주 발표된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시장 예상을 뛰어넘었을 때부터 시장이 연준의 고강도 긴축을 선반영해서 급락해왔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점에서 당장의 금리 인상보다는 앞으로 남은 11월과 12월 FOMC 회의 전망, 연준의 연말 금리 전망치가 어디까지 높아질지 등에 따라 주가가 방향성을 정할 걸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점도표에선 기준금리가 올해 말 3.4%, 내년 3.8%까지 오를 걸로 예상됐지만, 이젠 올 연말 4%를 넘길 걸로 관측되고 있죠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만일 연말 금리 예상치가 4%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으로 상향 조정되면 국채 금리는 더 오르고 주가는 하락할 수 있습니까.<br /><br />한미 기준금리 역전도 우려되는 대목 아닙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그렇습니다.<br /><br />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은 2.5%로 같은 수준이지만, 연준이 자이언트 스텝을 밟으면 미국의 금리 상단은 3.25%로 한국보다 0.75%포인트 높아집니다.<br /><br />올해 남은 두 차례 회의에서도 빅스텝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고요.<br /><br />반면 한국은행은 앞으로 0.25%포인트씩 금리 인상을 예고했죠.<br /><br />이렇게 되면 연말까지 한미 금리 격차는 1%포인트 이상 벌어질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외국인 자본이 유출되고 원화 가치가 더 하락할 위험이 있습니다.<br /><br />한국은행에 따르면 과거 한미 금리가 세 차례 역전됐을 때도 외국인 증권투자 자금이 오히려 순 유입 됐다고는 하지만, 안심할 순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업계에선 연준의 이달 금리 인상 폭에 따라서 한국은행의 빅스텝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도 관심이 집중되는데 이번에 어떤 발언이 나올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 시장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파월 의장의 발언 수위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먼저 강달러와 경기침체 가능성, 이달부터 규모가 커진 양적 긴축 등에 대해 어떻게 말할지 지켜봐야 합니다.<br /><br />또 주목해야 할 이슈는 11월 FOMC와 관련한 발언인데요.<br /><br />앞서 8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발표되기 전까지만 해도 11월부터는 금리 인상 폭이 0.25%포인트로 낮아질 걸로 예상됐었죠.<br /><br />하지만 이젠 11월에도 0.5%포인트 이상의 큰 폭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놔야 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월가 일부에선 파월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극도로 매파적인 발언을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마지막으로 내일 증시 전망과 주요 일정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 주가지수 선물은 FOMC 회의를 대기하면서 상승 출발했지만, 하락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주가 향방은 이번 FOMC 회의 결과와 파월 의장 발언 등에 달려 있고요.<br /><br />새벽 미국의 FOMC 회의 결과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이 가장 중요하지만, 이외에도 예정된 이벤트가 많습니다.<br /><br />내일은 일본과 대만, 필리핀 등이 기준금리 결정에 나서고요.<br /><br />유럽에선 유럽중앙은행이 경제보고서를 내놓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군 동원령을 발동했다는 소식도 주목하셔야 겠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5분 세계증시였습니다.<br /><br />정윤교 기자 잘 들었습니다.<br /><br />#연합인포맥스 #정윤교 #FOMC #코스피 #자이언트스텝 #한국은행 #빅스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